일상소식

월평균소득 계산 및 확인 조회방법 살펴보기

리뷰동당 2022. 12. 7. 16:33

집과 복지에 관련된 정책들의 산정기준중에 중요한 부분을차지하는 월평균소득 계산이 있습니다. 특히 청약신청이나 임대주택 등의 기준에서 빼놓을 수 없는 소득조회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텐데요. 기본적인 월평균소득은 크게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기타소득으로 나뉘어지게 됩니다.

 

직장인들의 경우 내 월급이 평균소득 아닌가? 내 통장에 찍히는 실수령액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말씀 드렸듯이 위의 4가지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기에 다르게 접근을 해야 합니다. 또한 근로자가 아닌 사업자,프리랜서의 경우 사업소득에 해당되기에 각각의 경우에 따라 어떻게 계산을 하는지 알아 보도록하겠습니다.

 

월평균소득 계산 근로자

보험공단 조회하기

 

매달 일정하게 정해진 월급을 받는 근로자의 경우 상시근로자로 분리되어 건강보험공단에 집계됩니다. 때문에 홈페이지에서 평균보수월액을 조회하면 손쉽게 평균 소득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민원여기요 항목 클릭>개인민원을 선택합니다.

 

보험료조회/신청 항목에 위치한 직장보험료 조회를 선택합니다.

 

조회 버튼을 선택하면 납부된 월별 보험료와 더불어 좌측에 평균 보수월액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위의 자료로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액과 대조하여 각종 청약을 신청할때에 기준에 부합이 되는지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월평균소득 계산 사업자&프리랜서

소득금액증명 발급

 

사업자나 프리랜서는 국세청홈택스 페이지에서 월평균소득을 계산해야 합니다. 홈페이지 상단에 민원증명>소득금액증명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예전에는 각종 공인인증서를 불편하게 소지하고 다녀야 했으나 최근에 간편인증 서비스가 출시되며 카톡 인증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발급유형과 과세기간, 사용용도, 소득발생처 공개여부, 주소 및 주민등록 공개여부 등의 옵션을 선택한 다음, 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 단순히 내 월평균 금액이 얼마인지 확인하려면 인터넷열람(화면조회)만으로 충분합니다.

 

위 증명서에는 두가지, 수입금액과 소득금액이 있습니다. 여기서 소득금액에 나온 값÷12’해서 월평균소득액을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청약에 당첨 되었을때 소득금액의 커트라인에 있으신 분들은 아쉽게도 취소 사유가 될 수 있으니 반드시 사전에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